
1. 이진 분할표 (Binary Contingency Table) 위 표와 같이 양성과 음성을 분류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가 이진 분할표이다. TP: True Positive의 약자로 내가 양성(Positive)라고 예측한 것들 중 실제로 양성인 경우를 의미한다. (예측 성공) TN: True Negative의 약자로 내가 음성(Negative)라고 예측한 것들 중 실제로 음성인 경우를 의미한다. (예측 성공) FP: False Positive의 약자로 내가 양성(Positive)라고 예측한 것들 중 실제로 음성인 경우를 의미한다. (예측 실패) FN: False Negative의 약자로 내가 음성(Negative)라고 예측한 것들 중 실제로 양성인 경우를 의미한다. (예측 실패) 딱 절반이 파란색(TP)..

0. Test Error 우리가 모델을 학습시키고 test할 때, test 데이터셋의 error를 어떻게 알아내는지 생각해보자. 데이터가 100개 있으면, train과 test로 (혹은 valid도) split해서 test 데이터셋의 에러를 계산해왔을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test error를 하나의 상수로써 생각해왔었다. 이때 이런 의문이 생긴다. "그럼 split을 무작위로 할 때마다 test error도 바뀌지 않을까?" 처음 학원에 와서 실력을 평가하기 위해 레벨테스트를 보는 학생이 있는데, 다른 시험지를 줄 때마다 점수가 변하면 이 학생의 정말 객관적인 실력(일반화 generalization 성능)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그래서 통계적 관점에서 정의한 것이 바로 다음과 같다. Test Err..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4.03.12 1. 확률의 4가지 정의 1.고전적 정의 : 라플라스의 정의라고도 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1463번: 1로 만들기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Dynamic Programming (DP)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하나의 큰 문제를 나눴을 때 생기는 작은 문제들 즉, subproblem들 중 중복되는 subproblem들의 값들을 메모리에 저장(memoization)하여 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푸는 비효율적인 계산을 줄이고자 한다. 그렇기 때문에 풀었던 subproblem이 또 나왔을 때, 그 문제를 다시 풀 필요 없이 이전에 저장해뒀던 값을 찾아가면 된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크게 Bottom-Up과 Top-Down 방식으로 나뉜다. 1. Top-Down..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0 11050번: 이항 계수 1 첫째 줄에
https://www.acmicpc.net/problem/2609 2609번: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첫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둘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소 공배수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First Try """ 최대공약수 : 교집합 최소공배수 : 합집합 """ def get_factors(x: int) -> list: """ 입력받은 x의 약수를 반환한다. """ factors = [] n = 2 while (True): if x == 1: break if x % n == 0: factors.append(n) x = x / n else: n += 1 return factors def get_gcn(a, b: list): """ 두 수의 약수 리스..